[DB] 트랜잭션 고립 수준
트랜잭션 동시 실행 문제 지금까지 설명한 락은 두 트랜잭션이 (쓰기, 쓰기)인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두 개의 트랜잭션에서 트랜잭션 1은 읽기 작업을 하고 트랜잭션 2는 쓰기 작업을 한다. 락을 사용하여 두 트랜잭션을 동시에 실행시킬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두 트랜잭션의 동시 진행 정도를 과도하게 막기 때문이다. 동시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좀 더 완화된 방법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트랜잭션 동시 실행 문제 트랜잭션은 1은 읽기만 하기 때문에 갱신손실 같은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트랜잭션 1에서 오손 읽기(dirty read) 문제, 반복불가능 읽기 문제, 유령 데이터 읽기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읽기만 하는 트랜잭션이 쓰기 트랜잭션에서 작업한 중간 데이터를 읽기 때문에 발생하는..
2023.12.21